4. 19가 나던 해 세밑
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우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 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우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 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우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 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우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 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 김광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지난 임용시험의 전공과목에서 가장 마지막 문제는 이 시를 해석하는 문제였다. A4 반쪽 정도의 빈 공간에 나는 무엇을 적었던가. 내가 아는 선배형은 이 시 때문에 국문과를 택했다고 했었다. 그 형은 교양수업의 자기소개 시간에 이 시를 읊었다고 들었다.
그 형은 이 시를 읽을 때, 화자와 사회의 관계, 문학과 역사의 관련성, 화자의 어투, 각종 수사법 등을 고려하면서 읽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 형은 이 긴 시를 외우고 있었고, 즐겨 암송하였으며 주위 사람들에게도 곧잘 들려주었다.
시를 즐기는 것과 시를 가르치는 것은 분명 다르지만 시를 가르치는 목적 중의 하나가 "시를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임은 자명하다. 지금 내 어깨가 뻐근해져 오는 건 이 시를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며 읽기"라는 학습목표 아래 어떤 이론을 가르쳐야할지를 모르기 때문이 아니다. 그런 것들은 자습서만 봐도 훌륭히 정리되어있다.
나는 아직 이 시를 읽고 난 후, 내게 전해져 오는 "그 무엇"을 어떻게 온전히 표현해야하는지 자신이 없다. "중년 남성들의 추억"이란 식으로 정리할지도 모를 학생들에게 '결론 없는 모임'의 끝과 깊은 '늪'의 시작을 어떻게 연결시켜주어야할지도 막막하다. 내가 느꼈으니 너희도 느껴봐라는 식은 교육이 아니며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 모두가 뜬구름만 잡게 될 뿐이다.
요즘 나의 가장 큰 고민은 아이들과 얼마나 폭넓은 문학경험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점이다. 그 목적과 수단을 충분히 곱씹어 보기엔 새학기가 너무 빨리 다가왔다.
오늘은 시 수업을 할 때, 기타반주를 곁들여볼까 하는 상상도 해봤다.
시의 아름다운 울림이 기타와 공명하여 아이들의 마음을 두드려 줄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