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시험에 낙방한 이후, 사립학교 몇 군데에 지원서를 넣었다. 정교사 채용 공고는 보통 4천여명이 조회를 했고, 접수 시작 후 이틀만에 마감된 곳도 있었다. 아무래도 정교사는 경력 교사 위주로 채용하는 추세이다보니 나 역시 기간제 교사 모집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요즘 사립학교에서는 '기간제 교사'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기간제 교사란 짧게는 1년, 길게는 2년 정도의 비정규 계약직 교사를 말하는데 3년 이상 계약할 경우 정교사로 채용해야한다는 법 규정이 있어 대부분의 학교에서 2년 이하(보통 1년) 단위로 계약하는 경우가 많다.
비정규직의 증가로 야기되는 여러가지 사회 문제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지만 명확한 관점을 제시하지 못할 바에야 나 같은 사람은 입다물고 있는 편이 좋을 것 같다. 백 번 말로 떠드는 것보다 한 번 '팔뚝질'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고 있으니까.
어쨌든 거창한 제목에 어울리지 않게 나는 눈에 보이는 (어쩌면 별 것 아닌) 짜증스러움에 대해서 말하려고 한다. 기간제 교사가 되는 것조차 하늘의 별따기이다보니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이들이 많다. 나 역시 그 곳의 도움을 많이 얻고 있으며 교사가 되려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임은 분명하다.
다만 짜증나는 (정확히 말하자면 화가 나는) 것은 그 곳에도 소위 "찌질이들이 쓴 것 같은 댓글"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확인되지 않은 정보로 해당 학교에 대한 비난을 퍼붓는 것은 물론, 온갖 추측과 억측을 동원하여 지원서조차 보내지 말 것을 종용하기도 한다. 그들의 학교 평가 기준은 오직 "월급"과 "수업 시수" 뿐이다. 최악의 댓글은 "학생들이 질이 나쁘다"라는 말이었다.
기간제 교사라고 해서 '임용시험에서 떨어진 패배자'로 인식해서도 안되고 스스로 그런 자괴감에 빠질 필요도 없다고 본다. 비정규직 교사이긴 하지만 여전히 그들에게 방점이 찍히는 부분은 "교사"이지, "비정규직"이 아니다. 그들에게 교사란(기간제 교사란) '최소 비용으로 최대 이윤을 얻기 위한 임시 직업'으로만 받아들여지는 것인지...
쓰고보니 투정같다.
어느 한 곳에서도 연락이 오지 않아서 잔뜩 예민해졌나보다. 허허... OTL
요즘 사립학교에서는 '기간제 교사'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기간제 교사란 짧게는 1년, 길게는 2년 정도의 비정규 계약직 교사를 말하는데 3년 이상 계약할 경우 정교사로 채용해야한다는 법 규정이 있어 대부분의 학교에서 2년 이하(보통 1년) 단위로 계약하는 경우가 많다.
비정규직의 증가로 야기되는 여러가지 사회 문제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지만 명확한 관점을 제시하지 못할 바에야 나 같은 사람은 입다물고 있는 편이 좋을 것 같다. 백 번 말로 떠드는 것보다 한 번 '팔뚝질'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고 있으니까.
어쨌든 거창한 제목에 어울리지 않게 나는 눈에 보이는 (어쩌면 별 것 아닌) 짜증스러움에 대해서 말하려고 한다. 기간제 교사가 되는 것조차 하늘의 별따기이다보니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이들이 많다. 나 역시 그 곳의 도움을 많이 얻고 있으며 교사가 되려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임은 분명하다.
다만 짜증나는 (정확히 말하자면 화가 나는) 것은 그 곳에도 소위 "찌질이들이 쓴 것 같은 댓글"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확인되지 않은 정보로 해당 학교에 대한 비난을 퍼붓는 것은 물론, 온갖 추측과 억측을 동원하여 지원서조차 보내지 말 것을 종용하기도 한다. 그들의 학교 평가 기준은 오직 "월급"과 "수업 시수" 뿐이다. 최악의 댓글은 "학생들이 질이 나쁘다"라는 말이었다.
기간제 교사라고 해서 '임용시험에서 떨어진 패배자'로 인식해서도 안되고 스스로 그런 자괴감에 빠질 필요도 없다고 본다. 비정규직 교사이긴 하지만 여전히 그들에게 방점이 찍히는 부분은 "교사"이지, "비정규직"이 아니다. 그들에게 교사란(기간제 교사란) '최소 비용으로 최대 이윤을 얻기 위한 임시 직업'으로만 받아들여지는 것인지...
쓰고보니 투정같다.
어느 한 곳에서도 연락이 오지 않아서 잔뜩 예민해졌나보다. 허허... OTL